본문 바로가기
10. 움직이며 놀기

댄스에 대한 단상

by 졸바맨 2023. 5. 3.

"쉘위댄스" 라는 영화를 아십니까?

1996년에 개봉한 일본 영화인데 우연히 댄스에 빠진 

한 중년 남자 이야기를 다룬 영화입니다.

당시 저는 20대 후반이었고, 직장생활

시작 하기도 전 이라, 한 가정의 가장이 본연의 의무외에서

일탈을 꿈꾼다는 소재 자체가 매우 생경했던 기억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어렷을 적에 엄마로 부터 "이웃집 개똥이 엄마가

저 아랫 동네 카바레 들락날락하더니 가을느까 춤바람 나서 

아저씨한테 난리가 났다 카더라~ 으메 무시라"는

이야기를 종종 들었고,

KBS 뉴스에서는 "불법 댄스홀에서 강남 부인들이

제비족들과 불륜을 저질러 사회의 물의를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런 기사를 내보내던 시절이라

춤, 댄스 이런 거에 매우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습니다.

마치 죄질로 보면 마약 사범과 동급으로 인식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은 너도 나도 춤, 댄스 배우려는 열풍이고,

청소년들은 춤 잘 춰야 인싸가 된다고 하니 격세지감을 느낍니다.

 

하긴 저도 세월이 흐르면서 미디어의 영향을 받으면서 춤에

대한 인식이 점차 바뀌었던것 같습니다. 

영화 플래시댄스, 여인의 향기 등 춤을 소재로 한 헐리우드

영화 탓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저의 춤은 막춤입니다. 요즘은 청소년들이 길거리에서

유명 아이돌 댄스를 유투브를 보면서 정확히

따라서 배우는 걸 많이 보지만,

중,고등학교 때 저는 그런 열정이 없었고,

뭘보고 익혔는지 마이클 잭슨의 브레이크 댄스를

복도에서 춰 대는 녀석들을 저는 부러운 눈초리로 

지켜보곤 했습니다. 

 

춤에 대한 저의 원초적 욕구는 대학 1학년 공부를 망치고,

입대를 기다리던 공백기에 한번 폭발했습니다.

주제는 역시 막춤이요, 무대는 부산 서면의 나이트 클럽이었습니다.

당시 유행하던 유로댄스에 막춤을 추고, 술을 마시면서

주로 초등학교 동창들과 우정을 다졌습니다.

군대라는 도피처가 있었기에 광란과 환희의 밤은 계속되었습니다... 

용돈이 바닥날때까지...

 

지금은 중년 나이에 운동신경이 많이 떨어져 춤을 배워볼 생각이

많지 않지만, 사회초년 시절에 혼자 탱고나 살사를 배워볼려고 홍대의

살사 바에 딱 한번 들른 적이 있습니다.

당시 나우누리 스페인어 동호회의 한 여자 회원이 꼬셔서

동행 한 것이었는데, 춤을 잘 추는 남자회원 몇몇이 수많은 

여인들을 취하는 빈익빈 부익부의 부조리한 상황이 불쾌하게 느껴져서

그냥 나와 버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물론 그 살사 바는 

술 대신 음료수만 가능하고, 살사를 출때도 Body to body 간격을

주먹하나 유지해야 하는 룰을 준수하는 건전한 바였음에도 불구하고

나의 사교춤에 대한 본능적으로 부정적인 선입견은

일종의 카르마 수준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 후로 춤과 관련된 기억이 또 있습니다.

해외 주재원으로 근무하면서 어느 중동 국가의 호텔에

장기 투숙을 하게되었는데 그 호텔의 GX과목에 살사댄스와

줌바 댄스가 있어 한 달 정도 열심히 배웠습니다. 물론 지금은

다 까먹었지만 그때는 외국인들 사이에서 배우는 거라 

익명성으로 죄책감은 훨씬 덜했었던 것 같습니다. 

 

나의 티스토리 블로그 명은 루덴스 월드입니다. 

루덴스는 호모 루덴스 즉 노는 인간, 놀이하는 인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음주는 아니지만 가무는 루덴스의 필수 요소인 바, 기회가

되면 춤을 배우고 싶습니다. 특히 사교춤을요.

 

"놀이의 달이, 호모 루덴스" (저자 한경애, 출판 그린비)라는 책에

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대학시절에 우연히 춤의 매력에 빠진 은주와 성공은 직접

남미에 가서 춤을 배웁니다. 많은 사람들이 춤의 즐거움을

누릴수 있길 바라던 두 사람은 한국에 돌아와 학원을 차리는 게 아니라,

동호회를 만듭니다. 돈을 주고 받는 대신, 춤을 배운 사람이

또 다른 사람에게 춤을 가르쳐 주는 일종의

도제 방식 지식 전달입니다. (배워서 남주기라고 할까요)

평생 의례, 축제, 놀이의 연구에 몰두했던 네덜란드 작가

요한 호이징가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춤은 어느 시대에나 또 누구에게나 순수한 놀이이다.

그것은 이세상에 존재하는 가장 완전한 형태의 놀이다."

 

춤을 배우고 싶습니다. 하지만 돈을 들여서까지 배우고 싶진 않구요.

누구 공짜로 춤 배우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